이한휘 어르신은 지난해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일상생활이 어려워졌습니다.
다리에 마비가 와서 거동이 불편해졌고, 시력도 점점 희미해졌습니다.
아픈 남편을 대신하여 아내는 오늘도 폐지를 줍습니다.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거동 불편해
이한휘 어르신이 뇌졸중으로 쓰러진 건 지난해 초였습니다.
다행히 집에서 쓰러졌고 병원에 가서 여러 가지 검사를 받은 뒤, 뇌졸중 진단을 받았습니다.
뇌졸중이라는 병은 당장에 일상생활을 마비시켰습니다.
뇌졸중의 영향으로 시력이 급격히 나빠지고 있습니다.
현재 왼쪽 눈으로는 앞을 볼 수 없는 상태이고, 오른쪽 눈에는 희미하나마 시력이 남아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뇌졸중 치료를 위해서 주사를 맞기를 권했지만 쉽사리 수락하지 못했습니다.
병원비가 부담되어 치료를 포기한 상태입니다.
폐지 주워 생활비 보태
이한휘 어르신은 젊었을 적 구둣방에서 일했습니다. 50대까지는 수제화를 만드는 기술자였습니다.
하지만 기성화가 등장하고 젊은 기술자들이 나타나자 일자리를 잃고 서울로 상경했습니다.
그러나 어느새 나이가 들었고 일자리를 구하기가 점점 힘들어졌습니다.
더 이상 마땅한 일자리를 구할 수 없게 되자 이한휘 어르신은 폐지를 주워 생계에 보탰습니다.
사실 폐지를 줍는 일은 들이는 수고에 비해 돈을 얼마 벌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선택을 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이한휘 어르신이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에는 더이상 폐지를 줍는 일조차 하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아내는 남편을 대신해 수레를 끌었습니다.
치료비 걱정으로 병을 방치해
이 지역에서 벌써 50여년 거주했지만 내 집은 갖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여전히 월셋집을 전전하며 생활합니다. 지금 이 집에서는 4년째 거주 중입니다.
이사를 자주 다니다 보니 친하게 지내는 이웃도 없습니다. 부부에겐 오직 둘 뿐입니다.
거동이 불편하고 눈앞이 점점 희미해지는데, 치료비 걱정으로 병원에 갈 수 없는 현실입니다.
막막한 현실 앞에 그저 웃어버립니다. 그러면 그 순간엔 모든 것이 괜찮아지는 것만 같습니다.
하지만 이대로 병을 방치한다면 시력을 완전히 잃는 최악의 상황이 올지도 모릅니다.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 앞에 가로막혀 있는 이한휘 어르신이 다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의 성원을 부탁 드립니다.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한 명의 친구가 되어 주세요!
○후원금은 「소득세법」 제34조 및 「법인세법」 제 24조에 따른 공제 혜택을 받습니다. ○ 후원금은 사랑의전화복지재단이 당월 대상자에게 전액 전달합니다. 계좌번호(예금주: 사랑의전화복지재단) SC제일은행 303-20-190153 하나은행 294-810061-12205 국민은행 055-01-0395-799 신한은행 100-012-579935 KEB하나은행 248-890143-54305
사랑의전화복지재단 후원 문의전화 02.6261.1000 (* 대상자 지정후원을 희망하실 경우 위 문의 번호로 연락부탁드립니다.) |
*지면관계상 비아이 매거진에 소개된 이한휘 씨의 사연을 일부 편집하였습니다.
*비아이 매거진을 통해 자세한 이한휘 씨의 사연을 확인해 보세요.
비아이 매거진 바로가기 후원하기

이한휘 어르신은 지난해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일상생활이 어려워졌습니다.
다리에 마비가 와서 거동이 불편해졌고, 시력도 점점 희미해졌습니다.
아픈 남편을 대신하여 아내는 오늘도 폐지를 줍습니다.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거동 불편해
이한휘 어르신이 뇌졸중으로 쓰러진 건 지난해 초였습니다.
다행히 집에서 쓰러졌고 병원에 가서 여러 가지 검사를 받은 뒤, 뇌졸중 진단을 받았습니다.
뇌졸중이라는 병은 당장에 일상생활을 마비시켰습니다.
뇌졸중의 영향으로 시력이 급격히 나빠지고 있습니다.
현재 왼쪽 눈으로는 앞을 볼 수 없는 상태이고, 오른쪽 눈에는 희미하나마 시력이 남아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뇌졸중 치료를 위해서 주사를 맞기를 권했지만 쉽사리 수락하지 못했습니다.
병원비가 부담되어 치료를 포기한 상태입니다.
폐지 주워 생활비 보태
이한휘 어르신은 젊었을 적 구둣방에서 일했습니다. 50대까지는 수제화를 만드는 기술자였습니다.
하지만 기성화가 등장하고 젊은 기술자들이 나타나자 일자리를 잃고 서울로 상경했습니다.
그러나 어느새 나이가 들었고 일자리를 구하기가 점점 힘들어졌습니다.
더 이상 마땅한 일자리를 구할 수 없게 되자 이한휘 어르신은 폐지를 주워 생계에 보탰습니다.
사실 폐지를 줍는 일은 들이는 수고에 비해 돈을 얼마 벌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선택을 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이한휘 어르신이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에는 더이상 폐지를 줍는 일조차 하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아내는 남편을 대신해 수레를 끌었습니다.
치료비 걱정으로 병을 방치해
이 지역에서 벌써 50여년 거주했지만 내 집은 갖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여전히 월셋집을 전전하며 생활합니다. 지금 이 집에서는 4년째 거주 중입니다.
이사를 자주 다니다 보니 친하게 지내는 이웃도 없습니다. 부부에겐 오직 둘 뿐입니다.
거동이 불편하고 눈앞이 점점 희미해지는데, 치료비 걱정으로 병원에 갈 수 없는 현실입니다.
막막한 현실 앞에 그저 웃어버립니다. 그러면 그 순간엔 모든 것이 괜찮아지는 것만 같습니다.
하지만 이대로 병을 방치한다면 시력을 완전히 잃는 최악의 상황이 올지도 모릅니다.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 앞에 가로막혀 있는 이한휘 어르신이 다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의 성원을 부탁 드립니다.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한 명의 친구가 되어 주세요!
○후원금은 「소득세법」 제34조 및 「법인세법」 제 24조에 따른 공제 혜택을 받습니다.
○ 후원금은 사랑의전화복지재단이 당월 대상자에게 전액 전달합니다.
계좌번호(예금주: 사랑의전화복지재단)
SC제일은행 303-20-190153
하나은행 294-810061-12205
국민은행 055-01-0395-799
신한은행 100-012-579935
KEB하나은행 248-890143-54305
사랑의전화복지재단 후원 문의전화 02.6261.1000
(* 대상자 지정후원을 희망하실 경우 위 문의 번호로 연락부탁드립니다.)
*지면관계상 비아이 매거진에 소개된 이한휘 씨의 사연을 일부 편집하였습니다.
*비아이 매거진을 통해 자세한 이한휘 씨의 사연을 확인해 보세요.
비아이 매거진 바로가기 후원하기